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<경제를 부탁해> 시작하겠습니다.<br> <br>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.<br><br>Q1. 오늘은 기준금리부터 짚고 넘어가죠. 한국은행이 오늘 연 3.00%인 기준금리를 동결했죠?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<br>한은은 지난해 10월, 11월 두 차례 연속 금리를 0.5%포인트 인하했는데요. <br><br>이번에는 동결로 결정한 겁니다. <br><br>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게 된 배경에 대해 "예상치 못한 정치적 리스크 확대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지고 환율 변동성이 증대됐다"고 설명했는데요.<br><br>이번 동결 결정에는 미국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분위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현재 양국간 기준금리 차는 1.50% 포인트 수준인데요.<br><br>금리차가 더 벌어지면 원화 약세로 인한 환율 상승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입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한국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시각입니다.<br><br>Q2.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앞두고 재계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 현대차그룹도 후원금을 전달했다고요?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<br>현대차그룹이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기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요.<br><br>미국법인을 통해 후원금 100만 달러, 우리돈 약 14억7000만원을 전달했습니다.<br><br>보편관세 등을 무기로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하는 트럼프 행정부와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되는데요.<br><br>GM과 도요타,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이미 취임식에 100만 달러를 기부해 현대차그룹과 후원 규모는 같습니다.<br><br>현대차그룹 또한 경쟁사와 보폭을 맞추기 위해 기부를 결정했다는 설명입니다. <br><br>Q3. 100만 달러 이상을 기부하면 어떤 특전을 누리게 되는건가요?<br><br>17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8개 취임 관련 행사에 참석할 수 있는 특전이 있다고 합니다. <br><br>18일에는 JD 밴스 부통령 당선인 부부와, 19일에는 트럼프 당선인 부부와 만찬을 함께하는 식인데요.<br><br>이렇다보니 이번 취임식 기부금으로 모인 돈은 역대 최대인 1억7000만 달러입니다. <br><br>4년 전 조 바이든 대통령이 모은 6200만 달러의 3배에 육박합니다.<br><br>Q4. 취임식 기부 행렬에 동참하는 기업들이 많은가 봅니다. 현대차그룹은 이번 기부로 정의선 회장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는 건가요?<br><br>정의선 회장은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<br>다만 취임식을 제외한 만찬 행사 등 관련 부대 행사에는 그룹 관계자의 참석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는데요.<br><br>재계에선 취임식 부대 행사에 장재훈 부회장, 호세 무뇨스 사장, 성김 사장 등이 참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5. 국내 재계 인사들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이 결정된 대표적 인물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죠?<br><br>네, 정용진 회장은 취임식은 물론 당일 저녁에 열릴 무도회에도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><br>정 회장은 평소 친분이 있는 트럼프 당선인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에게 초청을 받은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><br>정 회장과 트럼프 주니어는 평소 서로를 '형제'라고 부를 만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왔는데요.<br><br>앞서 지난달에도 정 회장은 정재계 인사 중 처음으로 트럼프 당선인을 만나고 왔습니다. <br><br>이 때도 트럼프 주니어의 주선으로 만남이 성사됐는데, 정치와 경제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대화를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Q6. 정용진 회장이 한미 간 가교 역할을 할 지 주목이 됩니다. 취임식에 참석하는 재계 총수들이 더 있죠?<br><br>류진 풍산그룹 회장 겸 한국경제인협회 회장도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받았습니다. <br><br>류 회장은 대표적인 미국통 경제인인데요.<br><br>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등 공화당 인사들과 친분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<br><br>우오현 SM그룹 회장도 한미동맹친선협회 추천으로 초청받았습니다.<br><br>우오현 회장의 동생인 우현의 회장이 한미동맹친선협회 회장과 한미동맹재단 이사를 맡아 가교 역할을 했는데요. <br><br>우오현 회장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 1기 취임식에도 참석한 바 있습니다.<br><br>허영인 SPC그룹 회장도 한미동맹친선협회 추천으로 취임식에 초청받았습니다.<br><br>Q7. 재계 5위 중에선 현대차그룹만 참석하는건가요?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의 참석 가능성도 궁금해지네요.<br><br>현대차그룹을 제외한 삼성전자와 SK, LG 등 국내 주요 그룹은 취임식 기부금을 아직 내지 않은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그룹 총수들의 취임식 참석 가능성도 낮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><br>다만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트럼프 당선인과 만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입니다.<br><br>트럼프 당선인이 일대일 대면 협상을 선호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죠.<br><br>삼성과 SK, LG 등도 그룹별로 워싱턴의 대관 조직을 총동원해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접촉할 기회를 만들기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>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